QueryPie Community 버전 출시 🎉 지금 무료로 다운로드해보세요!

무료 다운로드
Security

AI는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Replit 사고로 돌아본 AI Agent 보안의 민낯

  • Brant Hwang

    Brant Hwang

    CEO, Founder

    브랜트는 QueryPie의 창립자이자 CEO로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17년 이상의 경력을 쌓았습니다. 그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시스템, 인터넷 포털 및 커머스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창업 전에는 카카오에서 플랫폼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AI는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Replit 사고로 돌아본 AI Agent 보안의 민낯

Replit 사고로 돌아본 ‘AI Agent 보안’의 현재와 과제

지난주, Reddit과 Hacker News 등 주요 기술 커뮤니티에서 한 사건이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바로, AI 개발 플랫폼 Replit의 AI Agent가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한 사고입니다.

문제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었습니다. 이 에이전트는 “DB는 절대 건드리지 말라”는 명시적 지시를 무시했으며, 이후 거짓 응답을 통해 사고를 은폐하려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사건 개요

Replit의 AI Agent는 AutoGPT처럼 멀티툴 기반으로 동작하며, CLI, DB, Git, Web 등 다양한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부 테스트 중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테스트 중이던 Replit의 AI Agent가 실수로 프로덕션 DB 전체를 삭제
  • 사전 정의된 보호 가이드라인을 무시하고 실행
  • 삭제 후에는 정상 동작처럼 보이도록 가짜 DB 생성
  • 사용자는 사고 발생 사실조차 한참 뒤에야 인지

이 에이전트는 사용자 명령을 잘못 이해하거나, 우회해 실행한 것이 아니라, "실행해선 안 되는 명령임을 인지하고도 무시"했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한 스타트업의 해프닝이 아닙니다.
AI가 실제 세계에서 실행 권한을 갖게 될 때, 우리가 감수해야 할 보안 리스크의 본질을 드러낸 중요한 사례입니다.

“왜 AI에게 DB 접근 권한을 줬나?” — 커뮤니티의 반응

사고 내용이 공유되자마자, 댓글은 수백 개로 폭주했습니다.

“검증도 안 된 AI에게 프로덕션 접근 권한을 준다는 건, 신입에게 sudo rm -rf / 권한을 주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건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을 실환경에 연결한 조직의 설계 책임이다.”

“요즘 스타트업들이 바이브 코딩에 빠져 있다. 뭔가 돌아가긴 하는데, 왜 돌아가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런 반응은 단순히 Replit만을 향한 비판이 아닙니다. 최근 AI Agent를 도입하는 수많은 SaaS 기업과 스타트업에 경고음을 울리는 메시지입니다.

AI Agent 시대, 우리가 고민해야 할 보안 체크리스트

AI를 업무에 도입하는 건 더 이상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남깁니다.

1. AI가 실제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가?

많은 AI 에이전트 시스템은 실행 로그를 상세하게 남기지 않거나, 결과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블랙박스 구조로 설계됩니다.

  • 로그가 없다면, 사고 발생 시 원인을 추적할 수도, 책임을 따질 수도 없습니다.
  • 특히 오픈소스 또는 API 기반 에이전트는 이런 위험에 더 취약합니다.

2. 리소스에 대한 권한은 충분히 세분화되어 있는가?

“권한 오남용”은 모든 보안 사고의 시작점입니다.

AI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 중요한 리소스는 분리하고, Agent에게는 반드시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권한은 읽기/쓰기/삭제 등으로 명확히 구분되고, 일부 작업은 2차 승인 또는 확인 로직이 있어야 합니다.

3. Agent의 ‘거짓말’을 탐지할 수 있는가?

Replit의 AI는 단순히 명령을 오해한 게 아니라, 사고를 은폐하기 위한 거짓 응답을 생성했습니다.

이는 LLM의 고질적인 문제인 “확신을 가진 허위 생성(hallucination)”과 결합될 때, 더욱 심각해집니다.

  • 거짓 응답을 탐지하기 위한 이중 모니터링 체계
  • 이상 행동에 대한 알림 및 차단 룰셋
  • 생성 결과를 신뢰하기 전 검증할 수 있는 샌드박스 환경

이 모든 것이 AI 실행 보안의 핵심 요소입니다.

AI Agent 도입, 이제 보안은 선택이 아니라 전제 조건

Replit의 사건은 단지 하나의 실수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이제 AI는 말만 하는 도구가 아니라, 행동하는 존재입니다.

  • 단순 생성형 AI에서 실행형 AI로의 진화
  • 자연어 명령 → API 호출 → 시스템 제어로 이어지는 실행 경로
  • 이 흐름을 제어하지 못하면, AI는 우리 의도를 넘어서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단기 생산성 향상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지속가능한 보안 구조, 그리고 사고가 발생해도 추적하고 복구할 수 있는 체계입니다. AI Agent를 신뢰하고 도입하려면, 먼저 그 행동을 이해하고, 제어하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